Skip to content

인(仁)의 재해석

보기 좋은 모습?

그만큼 잘생긴(美且仁) 사람은 없고,

그만큼 술마시기 즐기는(美且好) 사람은 없고,

그만큼 말타는 모습이 멋진(美且武) 사람은 없네. (詩經, 鄭風, 叔于田)

번듯한 외모가 아름답고(美且仁),

단정하게 빗은 머리가 아름답고(美且鬈),

굳센 모습이 아름답네(美且偲).  (詩經, 齊風, 盧令)

尙書, 金滕
무왕이 병이 들어 생명이 위태롭게 되자, 주공이 무왕의 회복을 축원하는 기도를 한 기록

既克商二年,王有疾, ... 周公 ... 告 太王、王季、文王
상나라를 정벌한지 2년째 되던 해 무왕이 병이났다. 주공이 태왕, 계왕, 문왕에게 다음과 같이 고축하였다.
... 以旦代某之身。予仁若考能,多材多藝,能事鬼神。乃元孫不若旦多材多藝,不能事鬼神。 단(旦)이 그분(무왕)을 대신하도록 해주소서. 제 모습은 돌아가신 문왕과 비슷하고, 재주도 많으니 귀신을 잘 모실 수 있습니다. 무왕은 단(旦)처럼 재주가 많지 못하여 귀신을 제대로 모실 수 없습니다...
김병환, "공자 이전의 仁개념 연구", 동양철학 제20집(2003)

온화, 인자, 부드러움, 자비로움?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듣기 좋은 말이나 보기 좋은 낯은 인(仁)과는 거리가 멀어!"
子曰:「巧言令色,鮮矣仁!」 (學而, 1.3)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듣기 좋은 말이나 하고, 좋은 낯으로 대하고, 아주 공손하게 행동하는 것을 쭈오치우밍은 부끄러워 했어. 나도 그래. 원한을 감추고 친구처럼 좋게 대하는 짓을 쭈오치우밍은 부끄러워 했어. 나도 그래."
巧言、令色、足恭,左丘明恥之,丘亦恥之。匿怨而友其人,左丘明恥之,丘亦恥之 (논어 5.25) (左丘明 为《左传》和《国语》的作者。)

강인함, 단호함

강인하고, 단호하고, 투박하고, 어눌한 것. 이런 것이 인(仁)에 근접해."
剛毅木訥,近仁 (子路, 13.27)

윤리적 결기 있는 자만이 사람을 제대로 좋아할 수도 있고, 제대로 미워할 수도 있지.
唯仁者, 能好人 能惡人 (里仁, 4.3)

"윤리적 결기가 있는 자는 반드시 용기가 있지. 용기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윤리적 결기가 있는 것은 아니지."
仁者,必有勇。勇者,不必有仁。(憲問, 14.4)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윤리적 결기가 제대로 있다면 사단 병력이 들이닥쳐도 물러서지 않겠지."
子曰:「當仁不讓於師。」 (衛靈公, 15.36)

當 = if 《荀子·君子》: 先祖當賢,後子孫必顯

師: 《說文》二千五百人爲師。《周禮·地官》五旅爲師。《註》二千五百人。《疏》春秋之時,雖累萬之衆,皆稱師。詩之六師,謂六軍之師。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의지가 굳은 선비, 윤리적 결기가 있는 사람은 살기 위해 윤리적 결기에 어긋나는 행위를 하지는 않아. 자기 목숨을 바쳐서 윤리적 결기를 완성하지."
子曰:「志士仁人,無求生以害仁,有殺身以成仁。」 (衛靈公, 15.9)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지혜로운 자가 누리는 기쁨은 물과 같고, 윤리적 결기 있는 자가 누리는 기쁨은 산과 같다. 지혜로운 자는 역동적이고, 윤리적 결기 있는 자는 흔들림이 없다. 지혜로운 자는 즐거움을 누리고, 윤리적 결기 있는 자는 오래도록 살아 있다."
子曰:「知者樂水,仁者樂山;知者動,仁者靜;知者樂,仁者壽。」 (雍也, 6.23) 論語注疏: 仁者樂如山之安固,自然不動,而萬物生焉。

기회주의, 편의주의적 자기 합리화에 대한 경계 - 아무리 급하고 아무리 위험해도 ...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재산과 지위는 모두가 원하는 것이지만, 올바른 도리에 따라 획득한 것이 아니라면 거기에 머물어서는 안된다. 가난함과 비천함은 모두가 싫어하는 것이지만, 부당하게 그렇게 된 경우라면 그 상황을 면하려 해서는 안된다. 고귀한 군자가 윤리적 결기를 버린다면 명예롭지 못한 것이다. 고귀한 군자는 식사 중에도 윤리적 결기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지 않고, 아무리 급하고 아무리 위험해도 반드시 윤리적 결기로 행동한다."
子曰:「富與貴是人之所欲也,不以其道得之,不處也;貧與賤是人之所惡也,不以其道得之,不去也。君子去仁,惡乎成名?君子無終食之間違仁,造次(extreme haste)必於是,顛沛(extreme peril)必於是。」 (里仁, 4.5)

평가의 어려움

맹무백이 이렇게 물었다. "자로는 윤리적 결기가 있습니까?" 선생님이 이렇게 대답했다. "모릅니다." 맹무백이 다시 묻자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仲由(자로)는 제후국의 병력 동원을 총괄하는 임무를 맡길만 하지만 윤리적 결기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염구(冉求)는 어떤가요?"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염구는 천 가구가 되는 고을이나 대부의 집안 일을 총괄하는 일을 맡길만 하지만 윤리적 결기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공서적(公西赤)은 어떤가요?"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공서적은 조정에서 허리띠를 두르고 사신이나 손님을 맞이하고 인사를 나누는 일을 맡길만 하지만 윤리적 결기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孟武伯問:「子路仁乎?」子曰:「不知也。」又問。子曰:「由也,千乘之國,可使治其賦也,不知其仁也。」 「求也何如?」子曰:「求也,千室之邑,百乘之家,可使為之宰也,不知其仁也。」 「赤也何如?」子曰:「赤也,束帶立於朝,可使與賓客言也,不知其仁也。」 (公冶長, 5.8)

자장이 이렇게 물었다. "도지사 자문(子文)은 세번이나 도지사에 임명되었는데 기뻐하는 기색이 없었고, 세번이나 파면되었는데 나쁜 감정을 담아두는 기색이 없이 종전 도지사 업무를 신임 도지사에게 반드시 알려주었습니다. 어떤가요?"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충직하군." "윤리적 결기가 있는 것 아닌가요?"라고 자장이 묻자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모르겠네. 그게 윤리적 결기인가?" "최저(崔杼)가 제나라의 군주를 살해하자 진문자는 수십대나 되는 수레와 말을 버리고 제나라를 떠났습니다. 다른 나라에 이르러서 그는 '너희들도 우리 나라의 최대감과 마찬가지군'이라면서 그 나라를 떠났습니다. 또 다른 나라에 가서도 '너희들도 우리 나라의 최대감과 마찬가지군'이라면서 그 나라를 떠났습니다. 어떤가요?"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깨끗하군." "윤리적 결기가 있는 것 아닌가요?"라고 자장이 묻자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모르겠네. 그게 윤리적 결기인가?"
子張問曰:「令尹子文三仕為令尹,無喜色;三已之,無慍色。舊令尹之政,必以告新令尹。何如?」子曰:「忠矣。」曰:「仁矣乎?」曰:「未知,焉得仁?」「崔子弒齊君,陳文子有馬十乘,棄而違之。至於他邦,則曰:『猶吾大夫崔子也。』違之。之一邦,則又曰:『猶吾大夫崔子也。』違之。何如?」子曰:「清矣。」曰:「仁矣乎?」曰:「未知。焉得仁?」 (公冶長, 5.19)

누가 이렇게 말했다. "염옹(중궁)은 윤리적 결기가 있지만 말재주는 없다."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말재주가 무슨 소용이 있겠나? 말재주로 사람들을 이리 저리 부리면 여러사람들이 미워하게 되지. 염옹이 윤리적 결기가 있는지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말재주는 무슨 소용이 있겠나?"
或曰:「雍也,仁而不佞(영)。」子曰:「焉用佞?禦人以口給,屢憎於人。不知其仁,焉用佞?」 (公冶長, 5.5)

원헌(原憲)이 부끄러움에 대해서 질문했다.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나라가 제대로 굴러가건 나라가 엉망이건 먹고사는 것에만 골몰하는 것, 이게 부끄러운 거야." "상대방을 이기려는 태도, 자기 자랑, 남에 대한 원망, 물질적 욕망에 빠져들지 않는 것. 이것이 윤리적 결기라 할만하지 않습니까?"라고 묻자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그건 어려운 것이라 할만하지. 윤리적 결기인지는 난 잘 모르겠네."
憲問恥。子曰:「邦有道,穀;邦無道,穀,恥也。」 「克(승벽)、伐(자랑하다; 矜)、怨、欲 不行焉,可以為仁矣?」子曰:「可以為難矣,仁則吾不知也。」 (憲問, 14.1)

초심자를 위한 '쉬운' 설명

번지(樊遲)가 지혜에 대해서 질문했다.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백성들이 올바른 길로 가도록 인도하는데 노력하고, 귀신을 경건히 대하되 적당히 거리를 두는 것. 이것이 지혜라 할만하지." 윤리적 결기에 대해서 질문하자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윤리적 결기는 어려운 것부터 먼저 해내고 보상은 나중으로 돌리는 것이지. 이것이 윤리적 결기라 할만하지."
樊遲問知。子曰:「務民之義,敬鬼神而遠之,可謂知矣。」問仁。曰:「仁者先難而後獲,可謂仁矣。」 (雍也, 6.22)

번지(樊遲)가 윤리적 결기에 대해서 물었다.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사람을 사랑하는 거지." 지혜가 뭔지를 묻자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사람을 아는 거지." 번지가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 못했다.
樊遲問仁。子曰:「愛人。」 問知。子曰:「知人。」 樊遲未達 (顏淵, 12.22)

번지(樊遲)가 윤리적 결기에 대해서 물었다.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집에서는 공손하게 행동하고, 일처리는 경건하게 하며,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는 충직하게 행동해. 설사 오랑캐의 나라에 가더라도 이걸 저버리면 안돼."
樊遲問仁。子曰:「居處恭,執事敬,與人忠。雖之夷狄,不可棄也。」 (子路, 13.19)

자장이 윤리적 결기에 대해서 물었다. 공자가 이렇게 대답했다. "온 세상 어디에 가더라도 다섯가지를 할 수 있다면 그게 윤리적 결기지." 그게 뭔지를 묻자, 이렇게 답했다. "공손함, 관대함, 믿음직함, 민첩함, 베품이지. 공손하면 모욕을 당하지 않고, 관대하면 사람들이 많이 따르게 되고, 믿을만하면 사람들이 일을 맡기고, 민첩하면 성과를 낳을 수 있고, 남에게 베풀면 사람들을 부릴 수 있게 되지." 子張問仁於孔子。孔子曰:「能行五者於天下,為仁矣。」請問之。曰:「恭、寬、信、敏、惠。恭則不侮,寬則得眾,信則人任焉,敏則有功,惠則足以使人。」 (陽貨, 17.6) (자고子羔는 어리석고, 증삼은 뻣뻣하고, 자장은 성실하지 못하고, 자로는 거칠어 柴也愚,參也魯,師也辟,由也喭 11.18)

자공(子貢)이 이렇게 말했다. "백성들에게 널리 베풀어 모든 중생을 구제할 수 있다면 이건 어떤가요? 윤리적 결기라 할만하지 않나요?"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그게 어찌 윤리적 결기에 그칠 문제냐? 그건 필시 성인(聖人)에 해당하겠지. 요임금과 순임금도 그렇게 하지 못해서 고민한 것 아니겠느냐. 윤리적 결기는 자기가 성취하고 싶은 것을 남들도 성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자기가 도달하고 싶은 것을 남들도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 자기 주변에서 얻은 교훈을 먼 타인에까지 적용하는 것, 이것이 윤리적 결기를 실천하는 방법이라 할만하지."
子貢曰:「如有博施於民而能濟眾,何如?可謂仁乎?」子曰:「何事於仁,必也聖乎!堯舜其猶病諸!夫仁者,己欲立而立人,己欲達而達人。能近取譬,可謂仁之方也已。」 (雍也, 6.30) (자공은 사람들 간에 비교하는 습관이 있었다.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사賜는 잘 났나보군. 나는 그럴 여유가 없네.  子貢方人。子曰:「賜也賢乎哉?夫我則不暇。」14.29)

'보상 심리'에 대한 경계

자공(子貢)이 이렇게 말했다. "백이와 숙제는 어떤 사람인가요?"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예전의 훌륭한 사람들이지." "억울함이 없었나요?"라고 자공이 묻자,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윤리적 결기를 원해서 윤리적 결기를 얻었는데 무슨 원망이 있겠니?"
子貢曰:「伯夷、叔齊何人也?」曰:「古之賢人也。」曰:「怨乎?」曰:「求仁而得仁,又何怨。」 (述而, 7.15)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용기는 좋아하고 가난함을 싫어하면 분란을 저지르지. 사람들이 윤리적 결기가 없다고 그걸 매우 싫어하면 분란을 저지르지."
子曰:「好勇疾貧,亂也。人而不仁,疾之已(이)甚,亂也。」 (泰伯, 8.10)

윤리적 결기를 좋아하는 사람치고 윤리적 결기 없는 자를 미워하는 것을 나는 아직 본적이 없어. 윤리적 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그걸 그리 대단히 여기지 않아. 윤리적 결기 없는 자를 미워하는 자는 그걸 윤리적 결기라고 여기지. 윤리적 결기 없는 자를 이용해서 자기 자신을 높이려 하지마. 누구라도 전력을 다하면 하루쯤은 윤리적 결기를 가질 수 있지 않겠니? 그럴 힘이 모자라는 사람을 아직 본 적이 없어. 그런자가 실제로 있는지 몰라도 난 아직 본 적이 없어.”
我未見好仁者,惡不仁者。好仁者,無以尚之;惡不仁者,其為仁矣,不使不仁者加乎其身。有能一日用其力於仁矣乎?我未見力不足者。蓋有之矣,我未之見也。」(里仁, 4.6)

쉬운가, 어려운가?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윤리적 결기가 멀리 있는 건가? 내가 원하기만 하면 당장에 윤리적 결기에 따라 행동할 수 있지."
子曰:「仁遠乎哉?我欲仁,斯仁至矣。」 (述而, 7.30)

안연이 윤리적 결기에 대해서 물었다.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자신을 극복하고 예법을 지키는 것이 윤리적 결기야. 하루라도 자신을 이겨내고 예법을 지키면 온천하가 윤리적으로 될 수 있지. 윤리의 실천은 자기자신에서 시작하는거야. 남에게서 윤리적 결기가 생겨날 수 있겠어? 안연이 그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묻자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예법(禮)에 어긋나는 것은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고, 움직이지도 말아.” 안연이 이렇게 대답했다. “제가 비록 명민하지는 않지만, 이 말씀을 소중히 받들겠습니다.”  顏淵問仁。子曰:「克己復禮為仁。一日克己復禮,天下歸仁焉。為仁由己,而由人乎哉?」顏淵曰:「請問其目。」子曰:「非禮勿視,非禮勿聽,非禮勿言,非禮勿動。」顏淵曰:「回雖不敏,請事斯語矣。」(顏淵 12.1)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어찌 내가 감히 성스러움이나 윤리적 결기가 있다고 하겠느냐. 나는 그저 싫증 냄 없이 노력할 뿐이고 귀찮아 하지 않고 사람들을 가르칠 뿐이다. 이것이 내가 하는 일이라고 할만하지." 공서화가 이렇게 말했다. "바로 그것이 제자들이 도저히 배울 수 없는 것이지요."
子曰:「若聖與仁,則吾豈(기)敢?抑為之不厭,誨(회)人不倦,則可謂云爾已矣。」公西華曰:「正唯弟子不能學也。」 (述而, 7.34)

선생님은 이익, 운명, 윤리적 결기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子罕言利,與命,與仁。(子罕, 9.1)

사마우가 윤리적 결기에 대해서 물었다.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윤리적 결기는 말을 참는 것이야." "말을 참는 것이 어째 윤리적 결기라고 할만한지요?"라고 묻자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실천하기 어려우니 말을 안참고 막하면 되겠니?"  司馬牛問仁。子曰:「仁者其言也訒(인)。」曰:「其言也訒,斯謂之仁已乎?」子曰:「為之難,言之得無訒乎?」 (顏淵, 12.3)

배워야 하는 이유

윤리적 결기를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바보가 되는 폐해가 있다. 지혜를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방탕하게 되는 폐해가 있다. 신의를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도적떼가 되는 폐해가 있다. 정직을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꼼짝달싹 못하게 되는 폐해가 있다. 용기를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반란을 일으키게 되는 폐해가 있다. 강인함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미친 짓을 하게 되는 폐해가 있다.
好仁不好學,其蔽也愚;好知不好學,其蔽也蕩;好信不好學,其蔽也賊;好直不好學,其蔽也絞;好勇不好學,其蔽也亂;好剛不好學,其蔽也狂 (陽貨, 17.8)

image_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