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자의 채권침해 Author Published on 1. 인정 근거 채권이 가지는 재산적 가치의 보호 2. 침해 양태 채권의 준점유자 또는 영수증 소지자로서 변제를 받아간 경우 (제470, 471조) 특정물을 멸실 시킨 경우 (代償청구권 / 임대물의 멸실로 입는 임차인의 손해) '하는 채무'를 이행 불가능하게 한 경우 이중매매와 자유경쟁 (적극가담 / 소극가담)99다38699 3. 불법행위 책임의 성립요건 故意 (채권자를 해함을 알고 = 채권의 존재를 알고) 4. 구제 수단 손해배상 99다67192 부당이득반환 ('누구'에게?) 침해배제청구권? (대항력 있는 임차인의 경우; 제621조2항) - 점유권에 기한 구제수단, 채권자 대위를 통한 구제수단 83가합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