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자: 유가 사상의 계승과 변질

김지수, “묵자(墨子)의 법사상”, 이화여자대학교 법학논집 18권2호 (2013)
강봉수, “묵자의 유가(儒家) 비판에 관한 논고”, 교육과학연구 제17권 제1호 (2015)
김형진, “『墨子』에 대한 전체주의적 해석의 단초”, 哲學 제104집 (2010)

1. 尚賢 (재능을 숭상함)

활을 잘 쏘고, 마차를 잘 운전하는 자가 많게 되도록 하려면 그들이 재물, 높은 지위, 존경, 영예를 누리도록 하면 된다.
뛰어난 재능과 덕행을 구비한 우수한 인재는 나라의 보배이며 정부의 핵심관료이므로 그들이 재물, 높은 지위, 존경, 영예를 누리도록 해야 한다. 그러고 나면 나라의 훌륭한 인재가 많아진다.
子墨子言曰:「譬若欲眾其國之善射御之士者,必將富之,貴之,敬之,譽之,然后國之善射御之士,將可得而眾也。
況又有賢良之士厚乎德行,辯乎言談,博乎道術者乎,此固國家之珍,而社稷之佐也,亦必且富之,貴之,敬之,譽之,然后國之良士,亦將可得而眾也。 (尚賢上 4)

옛 성왕은 “정의롭지 않으면 재물, 높은 지위, 친밀함, 가까움을 누리지 못하게 하겠다”라고 선언 했다. 그러자 나라의 부유하고 높은 지위를 가진 자들은 “나는 富貴에 의존하는데, 임금은 貧賤한 사람도 정의롭다면 기용한다고 하므로 나도 정의롭게 행동하지 않을 수 없겠다”라고 생각하게 된다.
국왕과 친밀한 자는 “나는 친밀함에 의존하는데, 임금은 낯선 자라도 정의롭다면 기용하겠다고 하니, 나도 정의롭게 행동하지 않을 수 없겠다”고 생각하게 된다.
국왕과 가까운 자는 “나는 가까움에 의존하는데, 임금은 거리가 있는 사람도 정의롭다면 기용한다고 하니, 나도 정의롭게 행동하지 않을 수 없겠다”고 생각하게 된다.
국왕과 거리가 있는 자는 “나는 국왕과 멀기 때문에 기댈 것이 없다고 여겼지만, 임금은 먼 사람도 정의롭다면 기용한다고 하니, 나도 정의롭게 행동하지 않을 수 없겠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나라의 모든 사람들이 앞다투어 정의롭게 행동하려 노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공직자의 높은 지위는 영구히 보장되면 안되며, 백성도 영구히 천한 지위에 있어서는 안된다. 유능하면 기용하고, 무능하면 해고하며, 공직 채용은 정의로움을 기준으로 하고, 사적인 원망은 고려에 넣지 않아야 한다.
뛰어난 재능을 숭상하는 것은 하늘과, 귀신과 백성에게 이롭고,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다.
是故古者聖王之為政也 言曰:「不義不富,不義不貴,不義不親,不義不近。」
是以國之富貴人聞之,皆退而謀曰:『始我所恃者,富貴也,今上舉義不辟貧賤,然則我不可不為義。』
親者聞之,亦退而謀曰:『始我所恃者親也,今上舉義不辟疏,然則我不可不為義。』
近者聞之,亦退而謀曰:『始我所恃者近也,今上舉義不避遠,然則我不可不為義。』
遠者聞之,亦退而謀曰:『我始以遠為無恃,今上舉義不辟遠,然則我不可不為義。』
逮至遠鄙郊外之臣,門庭庶子,國中之眾、四鄙之萌人聞之,皆競為義 (尚賢上 5)
故官無常貴,而民無終賤,有能則舉之,無能則下之,舉公義,辟私怨,此若言之謂也。 (尚賢上 6)
尚賢者,天鬼百姓之利,而政事之本也。 (尚賢下 6)

2. 논어 3.4에 대한 ‘Radical(根本주의적)’ 이해

林放問禮之本。子曰:「大哉問!禮,與其奢也,寧儉;喪,與其易也,寧戚。」 (3.4)

節用 [Moderation of comfort]

궁전을 짓는 방법은 벽은 바람과 추위를 막는데 충분한 수준, 지붕은 눈, 서리, 비, 이슬을 막는데 충분한 수준, 내부는 제사 지내는데 족한 정도로 청결하게 하고, 담장과 벽은 남녀 구별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수준이면 족하다. 그 이상의 시설은 백성의 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성왕들은 하지 않았다.
然則為宮室之法將柰何哉?子墨子言曰:「其旁可以圉風寒,上可以圉雪霜雨露,其中蠲潔,可以祭祀,宮牆足以為男女之別則止,諸加費不加民利者,聖王弗為。」 (節用中 6)

節葬[Moderation in funerals]

仁者가 천하를 위하는 도리는 효자가 부모를 위하는 도리와 다르지 않다.
仁者之為天下度也,辟之無以異乎孝子之為親度也 (節葬下 1)

富(재화) 眾(인구) 治(통치질서) 가 목표인데,

장례를 후하게 지내고, 상 중인 기간을 오래 끄는 것은
재화를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안되고,
인구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안되고,
통치질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안됨.

큰나라가 작은 나라를 침략하지 않도록 하는데도 도움이 안되고 (欲以禁止大國之攻小國也,意者可邪?其說又不可矣)
상제와 귀신의 복락을 달성하는데도 도움이 안되고(欲以干上帝鬼神之褔,意者可邪?其說又不可矣。)

그러므로 옛성왕들의 장례법은 관은 3촌, 시체를 담기에 충분한 크기, 휘장은 3개, 보기 싫은 것 가리는데 충분한 수준으로만, 지하수에 닿지 않을 정도로, 악취가 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매장. 매장이 완료되면 즉시 생업에 복귀. 故古聖王制為葬埋之法,曰:『棺三寸,足以朽體;衣衾三領,足以覆惡。以及其葬也,下毋及泉,上毋通臭,壟若參耕之畝,則止矣。死則既以葬矣,生者必無久哭,而疾而從事,人為其所能,以交相利也。』此聖王之法也。」

非樂

백성에게는 세가지 고충이 있음: 먹을 것이 충분하지 않아 배고프고, 입을 것이 충분하지 않아 춥고, 쉴 수 없어 피고함. 民有三患:飢者不得食,寒者不得衣,勞者不得息 (非樂上 2)

음악은 배고픔, 추위, 피곤의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함.

혼자 음악을 듣지 않고 군자들이나 천인들과 함께 듣게 되는데, 그럼으로써 군자의 정사를 방해하고 천인의 생산활동을 방해…
其說將必與賤人不與君子。 與君子聽之,廢君子聽治;與賤人聽之,廢賤人之從事

요즘의 왕이나 고위관리들은 하는일 없이 백성들을 수탈하여 음악을 즐기는데, 묵자는 이러한 음악을 반대.
今王公大人惟毋為樂,虧奪民衣食之財,以拊樂如此多也。」是故子墨子曰:「為樂,非也。」

3. 兼愛[Reciprocation of love]

통치의 어려움은 혼란(亂)에 있음.

혼란은 서로 사랑하지 않아서 생김. (각자가 상대방을 착취…)
子自愛不愛父, 弟自愛不愛兄, 臣自愛不愛君,
父自愛也不愛子, 兄自愛也不愛弟, 君自愛也不愛臣
盜愛其室不愛其異室
賊愛其身不愛人
大夫各愛其家不愛異家
諸侯各愛其國不愛異國

그러나 모두가 서로 사랑하도록 하게 할 수 있으면 문제는 해결 될 것.
若使天下兼相愛,國與國不相攻,家與家不相亂,盜賊無有,君臣父子皆能孝慈,若此則天下治

방법론? 남의 이익을 내 이익처럼 여기라?
남의 나라를 내 나라처럼 여기고, 남의 집을 내 집 일처럼 여기고, 남의 몸을 내 몸 처럼 여기라
視人之國若視其國,視人之家若視其家,視人之身若視其身

남을 사람하는 자는 반드시 사랑받게 되어 있고, 남을 미워하는 자는 반드시 미움 받게 되어 있다. (천하의 선비들은 어째서 이걸 모르지?)
愛人者必見愛也,而惡人者必見惡也。不識天下之士,所以皆聞兼而非之者,其故何也? (兼愛下 10)

겸애는 서로 이익되는 일일 뿐 아니라 쉬운 것이기도 하다. 어째서 위정자들이 이것을 가르치지 않는지 모르겠다. 위정자들이 상과 벌로써 겸애를 권장하기만 하면 사람들은 서로 이익되는 방향으로 서로 사랑하게 될 것.
今若夫兼相愛,交相利,此其有利且易為也,不可勝計也,我以為則無有上說之者而已矣。苟有上說之者,勸之以賞譽,威之以刑罰,我以為人之於就兼相愛交相利也,譬之猶火之就上,水之就下也,不可防止於天下。

15.24 子曰:「其恕乎!己所不欲,勿施於人。」

4. 非攻 [No war of aggression]

한 사람을 죽이면 살인이라고 비난 받는데, 어째서 전쟁을 비난하지 않는 것이지?
殺一人謂之不義,必有一死罪矣,若以此說往,殺十人十重不義,必有十死罪矣;殺百人百重不義,必有百死罪矣。當此,天下之君子皆知而非之,謂之不義。今至大為不義攻國,則弗知非,從而譽之,謂之義,… 是以知天下之君子也,辯義與不義之亂也。 (非攻上 2)

하늘에 이롭고, 귀신에 이롭고, 사람에 이로운 것은 높이 평가 받아야 하겠지만….
為其上中天之利,而中中鬼之利,而下中人之利,故譽之與 (非攻下 1)

전쟁은 이 셋 모두에게 해롭다는 주장

[War of aggression v War of retribution]

5. 尚同 [Upholding uniformity]

옛날 백성들이 살기 시작했을 때, 형벌과 정치가 아직 없었으므로 각자가 옳은 것에 대한 견해가 달랐다. 그래서 사람마다 정의가 무엇인지를 다르게 생각하여, 자기 견해가 옳고 남의 견해는 틀렸다고 해서 모두가 서로를 비난했다. 집 안에서는 부자 간에 서로 원망 증오하고, 서로 화합하지 못했고, 천하의 백성들도 물과 불, 독과 약처럼 서로 해를 끼치고, 힘이 남아도 서로 도우지 않고, 악취가 날정도록 재물이 많아도 서로 나누지 않고, 좋은 도리를 숨기고 서로 가르치지 않았다. 천하의 어지러움은 금수의 세계와 같았다.
子墨子言曰:「古者民始生,未有刑政之時,蓋其語『人異義』。是以一人則一義,二人則二義,十人則十義,其人茲眾,其所謂義者亦茲眾。是以人是其義,以非人之義,故文相非也。是以內者父子兄弟作怨惡,離散不能相和合。天下之百姓,皆以水火毒藥相虧害,至有餘力不能以相勞,腐臭餘財不以相分,隱匿良道不以相教,天下之亂,若禽獸然。 (尚同上 1)

[In such condition, there is no place for Industry; because the fruit thereof is uncertain: and consequently no Culture of the Earth; no Navigation, nor use of the commodities that may be imported by Sea; no commodious Building; no Instruments of moving, and removing such things as require much force; no Knowledge of the face of the Earth; no account of Time; no Arts; no Letters; no Society; and which is worst of all, continuall feare, and danger of violent death; And the life of man, solitary, poore, nasty, brutish, and short. – Hobbes, Leviathan, ch. 13.]

[옛날의 동물세계와 같은] 혼란은 정부와 우두머리가 없어서 생겨난 것이 분명하다. 그래서 하늘은 온 세상에서 훌륭하고 유능한 사람을 골라 천자(天子)로 옹립했다. 천자는 자신의 힘이 부족하므로 세상에서 훌륭하고 유능한 사람을 골라 삼공(三公)을 임명했다. 천자와 삼공이 옹립되었으나 세상은 넓고 크고 먼나라와 다른 풍속에 따라 사는 사람들의 다툼과 이해관계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제후국으로 나누어 각 제후국의 통치자(國君)를 책봉했다. 제후국의 통치자는 자신의 힘이 부족하므로 그 나라의 훌륭하고 유능한 사람을 지역 우두머리(正長)로 임명했다. 夫明虖天下之所以亂者,生於無政長。是故選天下之賢可者,立以為天子。天子立,以其力為未足,又選擇天下之賢可者,置立之以為三公。天子三公既以立,以天下為博大,遠國異土之民,是非利害之辯,不可一二而明知,故畫分萬國,立諸侯國君,諸侯國君既已立,以其力為未足,又選擇其國之賢可者,置立之以為正長。 (尚同上 2)

천자는 천하의 백성에게 이렇게 포고했다. “좋거나 나쁜 것에 관한 내용을 들으면 모조리 상부에 보고하라. 상부가 옳다고 판단한 것은 반드시 모두가 옳다고 해야 하며, 상부가 옳지 않다고 판단한 것은 반드시 모두가 옳지 않다고 해야 한다. 상부의 잘못이 있으면 규정에 따라 간언하고, 하부의 선행이 있으면 주변에서 그를 추천해야 한다. 윗사람을 본받고 아랫사람처럼 되지 않는 자는 윗사람이 상을 줘야하고 아랫사람들이 칭찬해야 한다. 반면에, 좋거나 나쁜 것에 관한 내용을 상부에 보고하지 않고, 상부가 옳다고 판단한 것을 옳다고 하지 못하고, 상부가 옳지 않다고 판단한 것을 옳지 않다고 하지 못하고, 상부의 잘못이 있어도 규정에 따라 간언하지 않고, 하부의 선행이 있어도 추천을 하지 않으며, 아랫 것들처럼 되고 윗사람을 본받지 못하는 자는 윗사람이 벌을 내릴 것이고 백성의 비난을 받아야 한다.” 이것이 바로 상과 벌임을 분명히 깨닫고 새겨야 한다.
天子發政於天下之百姓,言曰:『聞善而不善,皆以告其上。上之所是,必皆是之,所非必皆非之,上有過則規諫之,下有善則傍薦之。上同而不下比者,此上之所賞,而下之所譽也。[…]

이장(里長)은 동네 사람 중 제일 난 사람이다. 이장은 동네 사람들에게 이렇게 포고했다. “좋거나 나쁜 것에 관한 내용을 들으면 모조리 도지사(鄉長)에게 보고하라. 도지사가 옳다고 판단한 것은 반드시 모두가 옳다고 해야 하며, 도지사가 옳지 않다고 판단한 것은 반드시 모두가 옳지 않다고 해야 한다. 나쁜 말을 하지 않고 도지사의 훌륭한 말을 배우고, 나쁜 행동을 하지 않고 도지사의 좋은 행동을 배운다면 도내의 질서가 문란해질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 도단위를 어떻게 통치하는지 알겠는가? 도내의 옳고 그름을 도지사가 하나로 통일하면 도가 통치되는 것이다.

도지사(鄉長)는 도내에서 제일 난 사람이다. 도지사는 도내 사람들에게 이렇게 포고했다. “좋거나 나쁜 것에 관한 내용을 들으면 모조리 제후국 통치자(國君)에게 보고하라. 통치자가 옳다고 판단한 것은 반드시 모두가 옳다고 해야 하며, 통치자가 옳지 않다고 판단한 것은 반드시 모두가 옳지 않다고 해야 한다. 나쁜 말을 하지 않고 통치자의 훌륭한 말을 배우고, 나쁜 행동을 하지 않고 통치자의 좋은 행동을 배운다면 제후국의 질서가 문란해질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 제후국을 어떻게 통치하는지 알겠는가? 제후국의 옳고 그름을 통치자가 하나로 통일하면 제후국이 통치되는 것이다.

제후국 통치자(國君)는 제후국에서 제일 난 사람이다. 통치자는 제후국 사람들에게 이렇게 포고했다. “좋거나 나쁜 것에 관한 내용을 들으면 모조리 천자(天子)에게 보고하라. 천자가 옳다고 판단한 것은 반드시 모두가 옳다고 해야 하며, 천자가 옳지 않다고 판단한 것은 반드시 모두가 옳지 않다고 해야 한다. 나쁜 말을 하지 않고 천자의 훌륭한 말을 배우고, 나쁜 행동을 하지 않고 천자의 좋은 행동을 배운다면 천하의 질서가 문란해질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 천하를 어떻게 통치하는지 알겠는가? 천하의 옳고 그름을 천자가 하나로 통일하면 천하가 통치되는 것이다

(尚同上 4, 5, 6)

However, when the uniformity is achieved all the way up to the Son of Heaven, but not up to the Heaven itself, disasters will strike.
天下之百姓皆上同於天子,而不上同於天,則菑猶未去也。 … 天之所以罰百姓之不上同於天者也。」 (尚同上 7)

[cf. Lun Yu, 13.23 (君子和而不同,小人同而不和。)]

6. 天志 [The will of Heaven]

하늘은 모든 것을 안다.(天 … 明必見之)
한 집의 가장이 범죄를 저지르면 다른 집으로 도망갈 수 있겠지만, 한 국가에서 범죄를 저지르면 다른 국가로 도망할 수 있겠지만, … 범죄를 저지르면 하늘로부터 도망할 길은 없다. 수풀 속, 계속 깊은 곳 아무도 없는 곳에서 저질러도 하늘은 이를 뚜렷하게 보기 때문 (夫天不可為林谷幽門無人,明必見之) (天志上 1)

하늘은 정의를 원하고 불의를 미워한다(天欲義而惡不義).
천하에 정의가 있으면 만물이 살고, 정의가 사라지면 만물이 죽는다. 정의가 있으면 부유하게 되고, 정의가 없어지면 가난하게 된다. 정의가 있으면 다르려지고, 정의가 없어지면 혼란이 온다. 한편 하늘은 삶을 원하고 죽음을 원하지 않으며, 부유함을 원하고 가난을 원하지 않고, 다스려지는 것을 원하고 혼란을 원하지 않는다. 이것이 내가 하늘이 정의를 원하고 부정의를 싫어한다는 점을 아는 이유다.
天下有義則生,無義則死;有義則富,無義則貧;有義則治,無義則亂。然則天欲其生而惡其死,欲其富而惡其貧,欲其治而惡其亂,此我所以知天欲義而惡不義也。 (天志上 2)

정의는 하늘에서 나온다(義果自天出).
정의는 어리석고 천한 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귀하고 지혜로운 자에서 나온다(義不從愚且賤者出,必自貴且知者出). 하늘이 가장 귀하고 지혜롭다. 그러므로 정의는 하늘에서 나온다.(天志中 1)

하늘은 백성을 사랑한다(天之愛天下之百姓).
그렇다면 하늘이 온세상 백성을 사랑한다는 것은 어떻게 아는가? … 무고한 사람을 한명 죽이면, 반드시 불길한 일이 하나 생긴다. 무고한 사람을 누가 죽이는가? 사람이 죽인다. 사람들에게 불길한 일을 보내는 자는 누구인가? 하늘이다. 만약 하늘이 온세상 백성을 사랑하지 않는다면 사람이 사람을 서로 죽이는 일에 대해서 하늘이 불길한 일을 내려보내겠는가? 이것으로 나는 하늘이 온세상 백성을 사랑함을 안다.
且吾言殺一不辜者必有一不祥。殺不辜者誰也?則人也。予之不祥者誰也?則天也。若以天為不愛天下之百姓,則何故以人與人相殺,而天予之不祥?此我所以知天之愛天下之百姓也。(天志上 5)

하느님은 인간을 매우 사랑하시니… 天之愛民之厚者

하늘이 백성을 두텁게 사랑하심을 내가 아는 또 다른 이유는 이것이다. 해와 달과 별을 빚어내 밝게 비춰 이끌어주시고,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만들어 기강을 세워주시고, 눈 서리 비 이슬을 내려 오곡과 삼베와 명주가 자라도록 해서 사람들이 그것을 수확하여 이득을 보도록 해주시고, 산천과 계곡을 만들어 온갖 것을 파종하고 수확할 수 있게 하시고, 백성의 착하고 나쁜 점을 맡아 처리할 수 있도록 왕과 제후들을 세워 재능이 많은 이를 상주고 횡포한 이를 벌주시며, 쇠와 나무와 날짐승 들짐승을 베푸시고, 오곡과 삼베와 명주를 생산하여 백성들이 옷을 입고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하신다. 예로부터 오늘 날까지 늘 이랬다. 여기 한 사람이 있어 그 아들을 기꺼이 사랑하여 힘을 다해 오로지 그 아들을 이롭게 해주었는데, 아들이 커서 아버지의 사랑을 갚지 않으면 온 세상 군자들은 이것을 仁하지 못하고 상서롭지 않다고 할 것이다. 하늘은 온 세상을 두루 사랑하시고 만물을 갖추어 사람들을 이롭게 하신다. 털끝만한 작은 것도 하느님이 하신 일이 아닌 것이 없다. (天志中 6)

내가 하늘의 뜻을 안다. 我有天志
묵자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하늘의 뜻을 안다. 바퀴를 만드는 장인이나 가구를 만드는 목수가 자와 콤파스를 가지고 사물이 둥근지, 각진지를 측정하는 것과 같이, 나는 (하늘의 뜻을 기준으로) 모든 것을 판단한다. (我有天志,譬若輪人之有規,匠人之有矩,輪匠執其規矩,以度天下之方圜) These days, scholars and rulers have produced so many books. Their arguments are inexhaustible. Grand dukes have their theories, small scholars have their theories. As far as moral fortitude and rightness are concerned, however, they are all way off the mark. How do I know? I know because I have obtained the brightest measure of this world and measure them.’ (天志上 7)

cf. 詩經, 文王之什, 皇矣
The Lord spoke to the king Wen,
‘I have bright virtue in me
But my voice is not loud, my appearance is not striking
My whip is not long, my lash is not thick
You won’t see me, you won’t know me
Follow my rule.’
帝謂文王、予懷明德、不大聲以色、不長夏以革。
不識不知、順帝之則。

詩經, 文王之什, 文王

上天之載、無聲無臭。
하늘위에서의 일은 소리도 냄새도 없네
儀刑文王、萬邦作孚。
문왕의 모범을 따르면 온세상의 믿음을 얻으리(孚=信)

7. 明鬼 [Proving the existence of ghosts]

[Why is the whole world now in a chaos?] This is because everybody is in doubt as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ghosts and spirits. Nobody is clear about the ability of the ghosts and spirits to recompense the talent and punish the violent.

The way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phenomenon is to see whether many people have actually witnessed or heard it. A mere account that a certain this saw it or a certain that heard it will not be enough.

Those who insist on non-existence of ghosts say, ‘So many people claim to have seen or heard the ghosts and spirits. But who exactly have done so?’ Mo Zi says, ‘In fact, many people saw it together, heard it together. Du Bo is the case in point …’

Those who insist on non-existence of ghosts say, ‘This is no more than many people’s account of what they saw or heard. Is it enough to settle the doubt? How can a man who aspires to be a noble man of this world can be so gullible as to believe many people’s account of what they saw or heard?’ Mo Zi says, ‘If many people’s account of what they heard or saw is not enough to believe, not enough to settle the doubt, we won’t know what the ancient sage kings Yao, Xun, Yu, Tang, Wen, Wu were like. Then, how can you say that they are to be emulated? Those who are above average all agree that the sage kings of the previous three dynasties are good enough to be emulated. [In numerous books which record their deeds, however, we may see that] they all believed in the existence of ghosts and spirits. They all served them well. Those who insist on the non-existence of ghosts go against the practice of the sage kings. Going against the practice of the sage kings is not the way of a noble man.’

Those who insist on non-existence of ghosts say, ‘If the intention is not genuine, [offering sacrifice to the ghosts] is merely harming the interest of family members. Would such a practice make a respectful son?’ Mo Zi says, `[In most cases, the sacrifice will be for the ghosts of one’s deceased parents or relatives.] If these ghosts should be there, it is to offer food and drinks to one’s parents and relatives. Is it not a great benefit? Even if these ghosts should not be there, the expenses of offering sacrifices are not wasted because family members and village people can all eat and drink. Through these occasions, people can get together and rejoice resulting in good bonding of the village people.’

Those who insist on non-existence of ghosts say, `Ghosts and spirits simply do not exist. That is why you should not offer food, drinks and sacrificial animals. It is not that I cherish the food, drinks and sacrificial animals. I simply do not see what can be gained.’ This is against the books of the sage kings, against the deeds of respectful sons.

[cf. Lun Yu,
11.12 季路問事鬼神。子曰:「未能事人,焉能事鬼?」敢問死。曰:「未知生,焉知死?」
7.21 子不語怪,力,亂,神。
2.24 子曰 非其鬼而祭之,諂也
7.35 子疾病,子路請禱。子曰:「有諸?」子路對曰:「有之。誄曰:『禱爾于上下神祇。』」子曰:「丘之禱久矣。」

8. 非命 [No Fate]

[Some say that there is the fate; some say that there is no fate.] If many people saw or heard it, we may know that there is the fate. If not, we may know that there is no fate. As none of the people have ever seen or heard the fate, we may conclude that there is no fate. If the base people are not to be trusted, why not observe the feudal lords’ account or sayings? Again, none of the feudal lords have ever heard the sound of the fate, seen the shape of the fate. Let us then observe the affairs of the sage kings.

[Whether there was a good government or a bad government depended on the ability of the ruler. So there was no fate. Only the tyrants had claimed the fate. But the sage kings have all vanquished them. In their good reign, all said that it was due to their effort.]

[Why do people work hard? If they don’t, they will lose the benefit of good government, peace, wealth, honour, prosperity, warmth, and a full belly. If they should believe in the fate, who would work hard?]

Noble men of the world who wish to promote the interest of the world and remove the harm of the world should condemn the theory of fate.

Sivaka-sutta: One day … Moliya-Sivaka asked Buddha, Oh! Venerable Gautama, there are the religious and the bramans who hold this view, “All feelings joyful, sorrowful and neutral of an individual are the result of the actions which the person committed in the past.” What say you, Venerable Gautama?’ Buddha said,Oh! Sivaka, there are also feelings which arise because of the physical condition (three kinds of humour – pitta semha, vata – and their combination). The existence of these feelings is generally recognised by people as truthful. The religious and the bramans who say “All feelings joyful, sorrowful and neutral of an individual are the result of the actions which the person committed in the past” go too far from the facts recognisable by personal experience and from the facts generally admitted by people. There are also feelings which arise because of the seasonal changes. … There are also feelings which arise because of irregular events. … There are also feelings which arise because of sudden accidents. … There are also feelings which arise because of maturation of actions.’

9. 非儒 [Against Confucians]

Throughout summer, they beg barley and rice. When five grains have all been harvested, they go after big funerals. They bring along their children and relatives to the funeral and bloat out. A few funerals will be enough to get them going. At the expense of other’s family, they fatten themselves. Relying on other’s field, they promote themselves. If a rich man has a funeral, they go crazy with joy and say, `This is the beginning of good food and good clothes!’

공구는 철저히 계획하고 모의해서 반란 세력을 지원하고, 열심히 생각하고 아는 것도 많은데 그것으로 사악한 행위를 감행하며, 아랫 사람들을 부추겨서 윗 사람을 끌어내리도록 하고, 신하들에게 주군을 살해하도록 가르칩니다. 이것은 현명한 사람이 하는 일이 아닙니다. 제후국을 방문해서는 반란 세력과 함께하는데 이것은 올바른 사람이 하는 일이 아닙니다. 사람들에게 충성심이 없어졌음을 알고는 반란을 일으키도록 부추기는데, 이것은 좋지도 않고 옳지도 않습니다. 도망간 후에도 모의를 하고, 등뒤에서는 나쁜 말을 퍼뜨립니다. 자신은 옳은 일을 한다고 믿겠지만 사람들이 보기에는 혼란스럽고, 그 사람이 기획하고 감행하려 준비하는 것에 군주나 신하들이 함께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공자의 무리들은 매끄러운 말로 사람들을 현혹하므로 법을 지키도록 할 수가 없습니다. 그들은 오만하여 자기 입장만을 내세우니 아랫사람으로 기용할 수도 없습니다. 상례를 중히 여기고 슬픈 감정을 끝까지 추구하여 재산을 탕진하면서까지 후하게 장례를 지내니 이것으로 풍속을 삼을 수도 없습니다. 떠돌아 다니며 사람들을 선동하고 재물을 구걸하니 나라꼴이 말이 아닐 것입니다. 위대한 인물들이 자취를 감춘 후 주나라 왕실은 쇠퇴했고 예악도 흠결이 많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공자는 외모를 성대하게 하고 치장을 화려하게 하여 오르고 내리는예법과 빨리 걷고 천천히 걷는 예절을 번잡하게 만들었으니 몇 세대가 걸려도 그들의 가르침을 다 배울 수는 없고 한두 해에 그들의 예법을 다 알아낼 수도 없습니다. 군주께서는 그를 기용하여 제나라의 풍속을 바꾸려하시지만 그는 일반 백성들의 스승이 될 만하지 못합니다

[An Ying continues,] 공자가 진나라, 채나라 사이에서 궁지에 빠져 명아주국만으로 싸라기도 없이 열흘을 지냈다. 자로가 돼지고기를 구해 삶아주자 고기가 어디서 났는지 물어보지도 않고 먹었다. 남의 옷을 벗겨 술을 사다주자 공자는 술이 어디서 났는지 물어보지도 않고 마셨다.

노나라 애공이 공자를 맞아들이니 방석이 반듯하지 않다고 앉지도 않고, 음식이 반듯하게 썰어져 있지 않다고 먹지도 않았다.

자로가 “어째, 진, 채 나라 사이에 있을 때와는 이렇게 다릅니까?”라고 묻자, 공자가 이렇게 말했다: “이리와 내가 이야기 해줄께. 전에는 너와 살기 바빴지만, 지금은 너와 옳은일 하기 바빠. 굶주리고 가난할 때에야 닥치고 살 길을 찾아야 하겠지만, 배부르고 여유가 생기면 거짓으로라도 좀 꾸며야 해”

사기도 이런 더러운 사기가 어디 있겠는가? (墨子, 非儒下, 11)

10. 貴義[Endearing rightness]yi (rightness) or li (benefit)?

Suppose a man offers you a hat and shoes. In return he proposes to chop your hands off. Would you agree? You wouldn’t. Because a hat and shoes are not as dear as your own limbs. Suppose a man offers you the whole world. In return, he proposes to take your life. Would you agree? You wouldn’t because the whole world is not as dear as your life. Over one word, however, people kill each other. This shows that rightness is dearer than one’s own life. Nothing, therefore, is dearer than rightness.

Noble men of the world treat rightful scholars with even less esteem than they treat a coolie carrying cereal. Imagine this. A coolie has rested on the roadside. Now he wants to stand up again with his load of cereal. But he is having difficulty. A noble man sees this. Without any regard to the age, low or high status of the person, he will help him to stand up. Why? `Because it is right’, he says. These days, noble men who [supposedly] practice rightness transmit the Way of ancient kings only to preach; they do not do what they expound. Rather, they deny and defile it. This is why I say noble men of the world treat rightful scholars with even less esteem than they treat a coolie carrying cereal.

Mo Zi said, `Merchants go to all corners. To sell their wares in markets, they move about with passport. In spite of the difficulties of crossing the check-points and toll-gates, in spite of the danger of thieves and robbers, they do it. Scholars, however, can remain seated and discuss rightness. There is no difficulty of crossing the check-points and toll-gates, no danger of thieves and robbers. [The comfort] is incomparable to the discomfort of having to move about with passport. Still, they don’t do it. That is, scholars cannot calculate the benefit while merchants even investigate it.

When I say a blind man does not know black and white, I do not mean that he does not know the name. I mean he does not know what the name refers to. … I say noble men of the world do not know ethical integrity. They do know the name but they do not know what it refers to.

Refuting my argument with your argument is just like hitting a boulder with an egg. Use all the eggs in the world. The boulder will still be right [there]. You cannot even make a dent.

Fundamentalist fanatics?

仁,愛也;義,利也。愛利,此也,所愛所利,彼也。(經說下 177)